본문
족보편찬(族譜編纂)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대동보(大同譜), 세보(世譜), 파보(派譜), 가승보(家乘譜) 등 여러 종류의 족보를 발간하려고 할 때 족보편찬위원회 구성부터 수단공고(收單公告), 수단접수, 편집, 교정, 인쇄, 제본, 발송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족보가 완성되어 발송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지칭하는 말이다.
족보는 원고(=收單) 접수와 편집 및 교정을 보는 방법이 일반 도서(圖書) 출판 시(時) 보다 매우 까다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수단(收單) 접수와 교정 그리고 자손록(子孫錄) 편집방법은 보학(譜學)을 공부하지 않은 일반인들에게는 너무나 생소한 업무이기에 아무나 할 수가 없다.
족보에 수록된 자손록(子孫錄) 및 세계도(世系圖) 편집은 시조(始祖)부터 말손(末孫)에 이르기까지 계대(系代)를 연결하면서 쉽게 뿌리를 찾아볼 수 있도록 편집해야하므로 편집방법에 있어 다양하고 특수한 편집기술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불과 10여 년 전만 하더라도 족보편찬 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또한 보학(譜學) 전문가가 있어야 족보를 편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요즘은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고 컴퓨터와 족보전용편집프로그램도 잘 개발되어 있어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족보를 발간할 수 있으며 보학(譜學) 전문가가 없어도 출판사의 도움을 받으면 쉽게 족보를 만들 수 있다.
현재 일부 업체에서 개발되어 사용 중인 족보편집프로그램은 다양한 편집기능이 있어 족보편집 및 교정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대폭 줄어든다. 그리고 컴퓨터와 인터넷이란 통신기술의 발달로 편찬실을 방문하지 않고 종친회 홈페이지를 통하여 수단접수와 교정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기술을 지원하는 업체도 있으므로 앞으로는 족보편찬이 더욱 편리해질 것이다.
본 족보편찬실무집 제1편에 수록된 내용에는 보책(譜冊) 발간에 따른 족보편찬위원회 구성부터 수단공고(收單公告)방법, 수단접수방법, 편집방법, 교정방법, 인쇄방법, 제본방법, 발송방법에 이르기까지 주요 항목별 기술과 작업방법 등을 구분하여 자세히 수록하였으므로 족보를 발간하려고 하는 문중은 제1편에 수록된 내용을 한번 읽어보고 추진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