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구 족보 및 신규수단 입력 ⇒ 교정 ⇒ 완교출력 ⇒ 인쇄 승인 ⇒ 인쇄공장으로 인쇄파일 인도 |
1) 구 족보 입력
구(舊) 족보(族譜)를 편집범례(編輯凡例)에 따라 입력한다. 일반 문서편집프로그램을 가지고 사진, 서문, 선조사적, 부록 등의 자료를 편집하고 족보전용편집프로그램으로 자손록, 색인부, 세계도를 입력ㆍ편집한다.
2) 신규 접수된 수단 입력
구 족보 입력 중에 신규로 접수된 수단(收單)이 들어오면 해당되는 분의 이름을 찾아 입력을 한다. 입력된 구 족보 중간 중간에 새로운 수단을 자유자재로 추가하면서 입력할 수 있으며, 정서(正書)작업을 하지 않고 입력해도 견상ㆍ견하 페이지가 자동으로 부여되면서 편집(編輯)된다.
3) 교 정
교정(校正)은 최소 3회 이상을 본다.
교정은 수단을 제출한 본인이 보는 것이 가장 정확하나 종회 사무실을 방문하는 것이 쉽지 않은 관계로 대부분 교정위원 또는 수단유사가 본다. 또 어떤 경우에는 편집 된 내용을 프린터로 출력하여 수단접수자에게 우편으로 발송하여 교정을 보게 하나 이 방법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
최근에는 종친회 홈페이지에서 자기의 족보를 검색하여 교정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다. 수단을 접수한 일가 분들이 종친회를 방문하지 않고 종친회 홈페이지를 통하여 수단접수자 본인이 직접 교정을 볼 수 있어 교정의 정확성은 물론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큰 장점이 있다.
종친회 홈페이지가 없는 문중은 족보제작업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교정을 볼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한다.
앞으로 족보 교정은 옛날처럼 편집된 자료를 프린터로 출력하여 교정보는 방법과 홈페이지를 통하여 교정보는 방법 2가지를 병행하여 시행하는 문중이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4) 최종 교정지 출력(완교)
교정(校正)이 완료되면 편찬위원회(編纂委員會)는 최종으로 편집 출력된 용지에 검수(檢收) 확인 도장을 날인하여 업체에게 인도한다.
5) 최종 인쇄파일 인쇄공장으로 인도
최종교정이 완료된 인쇄파일을 인쇄공장으로 인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