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도메인 등록 및 서버관리
홈페이지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도메인(주소)과 서버가 있어야 한다.
(1) 도메인 등록
도메인이란? 전화를 하기 위해서는 전화를 하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전화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두 전화가 각각의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또한 전화를 하고자 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알아야 한다. 인터넷도 마찬가지이다.
인터넷은 컴퓨터와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하여 다른 컴퓨터를 사용하는 상대방과 메일을 주고받는 다든지 아니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의 자료를 보기 위해서는 두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두 컴퓨터가 전화번호처럼 각각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또한 연결하고자 하는 상대방 컴퓨터의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한다.
주소는 전 세계적으로 중복되지 않으며 이러한 주소를 IP(Internet Protocol) 주소라고 한다.우리나라에서 많이 쓰는 도메인은 .com, .org, .net, .biz 등이 있으며 등록기관은 ICANN(The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이라는 국제기구에 의하여 관리된다. 한국의 .kr 도메인 이름 등록과 사용에 관한 모든 행정적인 절차 및 기술적인 관리는 한국인터넷진흥원(KRNIC)에서 결정(決定)·시행(施行)한다.
도메인은 영문 도메인과 한글 도메인이 있다.
보통은 영문 도메인을 등록하나 종친회에서는 영문과 한글 도메인 두 가지를 모두 등록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종친회 도메인 등록은 일가 분들이 쉽게 기억할 수 이름으로 등록하는 것이 좋다.
(예 : 영문 도메인 www.cheongjuhan.net 한글 도메인 www.청주한씨.net)
(예 : 영문 도메인 www.jeonjulee.com 한글 도메인 www.전주이씨.com)
도메인 등록비는 등록기간과 등록대행회사에 따라 조금씩 다르므로 자문을 구하여 등록하는 것이 좋고, 등록비용은 고정된 금액이 아니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진다. 2008년 현재 도메인 등록비용은 1년에 약 2만원에서 6만원 내외이다.
도메인 등록기간은 정해진 것이 없고 1년, 3년, 5년 등 본인이 선택하여 등록기간을 정하면 된다. 등록기간 연장은 만기 약 1개월 전에 해야 한다. 등록기간 내에 연장을 하지 않으면 타인이 귀 문중의 홈페이지 주소를 등록해서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도메인 등록방법과 절차는 본 실무집에서 설명하기에는 자료가 방대하므로 종친회 홈페이지 제작 담당자 또는 위탁업체에 자문을 구해서 등록하면 쉽게 할 수 있다.
(2) 서버 관리
홈페이지에 많은 자료를 구축(構築)해 놓으려면 고유 IP주소가 있는 대용량(大容量)의 컴퓨터가 있어야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에 저장되어있는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는데 바로 그런 역할을 하는 것이 서버(server)이며, 서버는 IP주소가 있는 속도가 빠르고 많은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컴퓨터를 지칭한다고 보면 된다.
이런 컴퓨터는 용량이 커야 하고 속도가 빨라야 하는데 종친회에서 구입하고 관리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기간을 정하여 임대료를 지불하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 임대회사는 많으나 임대비용(賃貸費用)이 비슷하면 홈페이지 제작업체의 서버를 사용하는 것이 유지관리(維持管理)상 좋다.
서버임대료는 A4기준 500페이지 정도의 자료가 구축(構築)된 종친회 홈페이지라면 1년에 약 3만원 내외이나 동영상이나, 수만 페이지의 인터넷족보를 구축한 종친회 같은 경우에는 서버임대료가 월 8만원이 넘는 곳도 있다. 따라서 서버임대료는 홈페이지에 구축된 자료의 양(量)을 감안하여 임대해야 한다.
서버임대계약기간은 1년 단위로 체결하나 장기로 계약을 체결하면 할인을 받을 수도 있다.